北 해커 조직, 사회 분열 조장하는 ‘사이버 심리전’ 주력
  • 북민위
  • 2025-04-26 08:21:30
  • 조회수 : 13

북한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사이버 공간을 통해 미국 내 여론 조작 활동을 계속해서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 전문 부서를 중심으로 해커 조직을 운영하며 가짜 계정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미국 사회의 분열을 유도하는 등 심리전을 전개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여론 조작 방식은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다. 주로 가짜 언론사나 위장 개인 신분을 생성한 뒤, 자동화 봇(bot) 계정과 개인 운영 계정을 병용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커뮤니티 등에 여론을 확산시키는 식이다.

이들은 인종 문제나 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민감한 이슈를 파고들어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작전을 벌이고 있다.

실제로 2020년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숨진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건 이후 북한은 수백 개의 위장 계정을 활용해 인종 차별 문제를 과잉 부각시키고, 커뮤니티 내부에서 의견 충돌을 유도했다고 한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에는 반전(反戰) 여론 형성에 골몰하며 미국의 대외 군사 지원 반대 목소리를 끌어올리는 활동을 전개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북한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 담당 인력을 대폭 확충했다는 전언도 있다.

사이버 심리전은 정찰총국 산하 ‘110호실’과 2개 전문연구소에서 전담하고 있고 산하에 수십 개의 실험·운영 연구실도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 지난해 말부터는 인원이 기존 170여 명에서 260여 명으로 대폭 확대되는가 하면 선발 기준 역시 강화돼 외국어 능통자와 자동화 시스템 설계 인재 중심으로 재편됐다는 것이다.

또 이들이 활동하는 (비밀 지하) 갱도 내에 신규 장비도 설치돼 첨단화가 진행됐으며, 중국·러시아산(産) 번역 도구, 딥페이크 영상·음성 기술, 얼굴·프로필 위조 프로그램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 같은 북한의 사이버 여론 조작 시도에 지속 대응하고 있다. 미 국방부와 FBI(연방수사국), NSA(국가안보국) 등은 딥페이크 분석 시스템과 위장 계정 패턴 추적 프로그램을 운용 중이다.

그러나 북한도 탐지를 피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거나 활동 패턴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방식 등으로 맞대응하고 있다. 자동화 계정과 수작업 계정을 섞어 사용하는 것은 물론, 일정 기간 활동한 계정은 3~6개월 내 폐기하는 체계도 갖추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북한은 이 같은 사이버 여론 조작을 고도의 심리전으로 전략화하고 있다. 소식통은 “적국 내부에서 제도 피로감과 분열을 유도하는 것이 추구하는 방향”이라며 “물리적 충돌이 없는 보이지 않는 전선에서의 필승 전략으로 여기고 있다”고 했다.

미국 사이버사령부(USCYBERCOM)는 이러한 북한의 전략을 국가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고 지난 2023년 하반기부터 관련 대응 훈련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북한이 배후로 지목된 여론 조작 사례는 한국과 일본, 유럽 일부 국가에서도 보고되고 있어, 북한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제3의 전장’ 중점 전략이 더욱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