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16-07-10 13:24:22
- 조회수 : 1,935
"힘들어도 외국에서 계속 일하고 싶어"
(뉴욕=연합뉴스) 박성제 특파원 = "1년 동안 가족에게 한 푼도 보내지 못한 적도 있어요. 그래도 북한으로 돌아가기보다는 외국에서 일하고 싶어요."
미국의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외화벌이하는 북한 근로자들을 집중 조명했다.
북한의 외국 파견 노동자들은 북한의 강압적인 통치와 정치범수용소 등과 함께 인권 유린의 대표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또 북한 정권의 '돈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국제사회가 북한 정권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시선을 끌고 있다.
몽골은 전통적으로 북한과 가까운 나라로 협약에 따라 북한의 근로자를 받아들이고 있다.
적게는 1천300명, 많게는 2천 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어 전 세계에서 외화벌이하는 북한 노동자가 5만2천여 명인 것을 고려하면 비중은 크지 않다. 그래도 러시아(2만 명), 중국(1만9천 명), 쿠웨이트(5천 명)에 이어 4∼5위권이다.
다른 나라에 파견된 노동자들과 마찬가지로 몽골에 나온 북한인도 대부분 건설공사 현장이나 공장, 식당 등에서 일한다.
울란바토르의 건설회사 구직 브로커는 "북한 사람들은 성실하고 인건비가 저렴하다"고 말했다.
북한 근로자의 월급은 대략 700달러(80만9천 원)이지만 실제로는 150∼200달러만 주고 나머지는 북한 정부가 압류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근로자가 실제 받는 월급은 17만∼23만 원인 셈이다.
2011년에 몽골에 온 한 북한 근로자는 하루에 12∼14시간 일하고 있다.
경기 침체 때문에 쥐꼬리만 한 월급은 더 줄어들어 1년 동안 북한에 있는 가족에게 한 푼도 보내지 못한 적도 있었다.
그런데도 그는 올해 몽골 파견 기간이 끝나면 북한에 들어가기보다는 외국에서 다시 일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장시간 노동에다가 돈도 많이 못 받지만, 그래도 북한보다는 자유롭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북한 노동자의 열악한 상황과 관련해서는 국제사회가 각국 정부에 우려를 전달했지만 크게 개선되지는 않고 있다.
국제노동기구(ILO) 몽골 대표인 팀 더 메이어는 "몽골 정부와 기업이 수용 의사를 밝혔지만 아무런 진전이 없다"고 전했다.
열악한 환경에 놓인 외화벌이 북한 노동자를 근절하려고 국제사회가 나서고 있지만, 당사국들을 설득하기가 싶지 않다고 미국과 한국 외교관들은 호소했다.
울란바토르에서는 북한 근로자 대부분이 건설공사현장이나 공장, 식당에서 일하지만 2개의 의료시설에서 일하는 인력도 있다.
의료시설에서는 기본적인 상담과 침 치료를 해 주고 15∼20달러를 받는다.
한 시설의 수석 의사는 2004년 개원 때 처음 왔으며 지금은 두 번째 5년 임기 파견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간 질환으로 방문한 환자에게 100달러 비용의 주사를 권유했다.
다른 한 시설은 지난 4월에 문을 열었다.
외국에서 일하는 북한의 의료 전문가는 1천250명 정도로 추정되며 대부분 아프리카에 파견돼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북한의 의료 전문가 파견은 쿠바가 수십 년 동안 외화를 벌기 위해 운영했던 프로그램을 상기시킨다고 전했다.
sungje@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