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민위
- 2025-03-18 07:19:43
- 조회수 : 92
지난해 평안북도 수해복구 현장에 동원됐던 돌격대 인원들 가운데 10여 명이 넘는 행방불명자가 발생한 사실이 최근에야 밝혀져 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평안북도 소식통은 “지난해 수해복구 현장에 동원됐던 돌격대에서 10여 명 이상이 행방불명됐지만, 평안북도 보위국이 국가보위성에 2월 말에 올려보낸 보고서를 통해 최근에야 이 사실이 밝혀졌다”며 “행방불명자가 발생한 돌격대에서 눈치를 보고 제때에 보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평안북도 보위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행방불명된 것으로 파악된 돌격대 인원은 10여 명이며 성별로 따져봤을 때 남녀 비율은 대략 반반으로, 이들 모두 일정한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수해복구 현장에서 일하는 도중 갑자기 몸이 심하게 아파 일할 수 없다고 한 경우인데, 이중에는 일시 귀가 조치를 받아 고향으로 돌아간 후에도 한동안 연락이 되다가 연락이 두절된 인원도 있고, 귀가 조치도 받지 않은 채 현장에서 갑자기 사라져 버린 인원도 있다는 전언이다.
특히 첫 번째 부류는 돌격대 간부들이 직접 “치료가 길어져 현장 복귀가 늦어진다”는 통보를 받았다가 이후에 연락이 끊긴 사례들이며, 두 번째 부류는 평안북도 수해복구 현장에서 아예 자취를 감춘 경우로 모두 중등학원(고아원) 졸업생들로 알려졌다.
보고서에는 또한 행방불명자 대부분이 조직 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해 사상교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평정서를 받고 돌격대에 배치된 대상자들이라는 점, 부모를 잃고 중등학원을 졸업한 후 바로 돌격대에 편입된 이들도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다는 점이 지적됐다.
국가보위성은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받은 직후 행방불명자들의 명단을 각 지역 보위부에 통보했으며, 이달 말까지 전국적으로 행방불명자들의 거취를 파악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특히 끝내 거취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식적으로 행방불명 처리를 하라고도 요구했다.
소식통은 “행방불명자가 속한 시·군 보위부들은 이 사안을 ‘국가적 손실을 초래한 중대한 사건’으로 간주하고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 이들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보위부 내부에서는 “미완성된 대상들이라 해도 국가가 관리하는 돌격대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진 것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사라지는 문제는 정치적인 문제로 봐야 한다”, “도망이든, 사고든, 불순세력의 개입이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철저한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한편 보위부가 행방불명자들의 행적을 수소문하는 과정에 주민들이 자연스레 이 사안을 알게 됐는데, 주민들 대부분은 “돌격대는 단순한 노동을 하는 곳이 아니라 목숨을 걸어야 하는 곳이고, 먹을 것도 제대로 못 먹고 일만 했을 텐데 달아나는 것은 뻔한 일”이라며 코웃음을 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북한날씨] 흐리다 밤부터 맑아져…백두산 아침최저 -26∼-23도 25.03.18
- 다음글북한, 제대군관을 ’27호’ 대상으로 분류해 특별 관리 2025.03.18 07: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