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17-09-21 13:06:35
- 조회수 : 1,090
북한 당국의 주민 통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 공식 매대가 아닌 시장 근처에서 장사를 하는 일종의 ‘메뚜기 장사꾼’에 대한 통제가 시작됐다고 소식통이 전해왔다.
양강도 소식통은 18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요즘 시장 근처나 다리 주변, 그리고 마을 곳곳에서 길거리 장사를 하는 주민들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면서 “(이는) 가을(추수철)인데도 농촌동원을 나가지 않고 돈으로 해결하려고 하자 도(道) 인민위원회가 메뚜기 장사꾼들을 단속하라는 지시를 내렸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그동안 공식 매대가 아닌 곳에서 장사를 하던 주민들은 아침부터 단속을 시작하는 보안원들의 눈을 피해 이리 저리 옮겨 다니고 있다”면서 “위연 백철다리 밑에서 장사하던 주민들도 매일 쫓겨 다니다 지쳐 농촌 쪽으로 이동장사를 떠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그래선지 요즘 메뚜기 장사꾼들 속에서는 ‘곱절이다’는 말이 유행이다”면서 “쫓겨 다니느라 곱으로 뛰어야 하고 피곤함도 곱절로 느낀다는 점을 표현한 말”이라고 실상을 소개했다.
북한 김정은은 주민들의 장사활동에 대한 단속과 통제를 사실상 거의 하지 않았었다. 시장활동의 자유를 풀어준다는 인민지도자 이미지 선전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준조세(準租稅) 확보의 이점도 작용했다. 이는 시장 밖 메뚜기 장사꾼에게도 적용된 것으로, 북한 당국은 이들에게 일반 장세의 50~70%를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하지만 이는 북한 김정은 입장에서는 ‘양날의 검’이다. 시장에서 자유를 획득한 북한 주민들은 이동과 주거, 직업까지 그동안 당국이 강력하게 통제했던 범위까지 넘나들면서 자유롭게 누리게 됐다는 것.
이에 대해 소식통은 “메뚜기 장사 통제에 대해 일부 주민들은 장사활동이 활성화되면서 사상의식이 흐려진다고 판단한 당국이 서둘러 내린 조치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 당국이 통제 정책을 언제까지 이어갈지는 미지수다. 올 초부터 가정집에서 진행됐던 상행위를 단속하긴 했지만, 얼마간의 장세를 받는 형식으로 흐지부지됐었다. 메뚜기 장사에 대한 세금을 올리는 등으로 마무리 될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소식통은 “일반적으로 주민들은 이런 단속이 일시적인 것으로 일종의 깜빠니아(캠페인)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이런 장사꾼들을 통해 벌이들이는 돈도 상당하기 때문에 당국도 쉽게 포기 못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이어 “몇 년간 장사단속을 하지 않아 이전(김정일 때)보다 나은 정치를 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우리 생각이 틀린 것”이라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면서 “이런 불만을 달래기 위해서 가을 동원이 끝나면 자연스럽게 단속을 강하게 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부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평양서 휘발유 가격 요동치자, 암시장서 ‘이것’이 인기라는데… 17.09.21
- 다음글지금 북한은 > NK 사회 “北국경경비대, 새벽에 몰래 도강해 중국인 핸드폰 빌려” 2017.09.21 13: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