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1-11-23 09:44:33
- 조회수 : 282
노동신문 "조건 내세우며 영농방법과 기술 전파에 나서지 않아"
지난 9월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에서 주민들이 농사일을 하고 있다. 2021.9.14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정래원 기자 = 식량난 해소에 안간힘을 쏟는 북한이 수확량을 올릴 수 있는 영농기술을 공유하지 않는 현상을 질책하고 나섰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3일 '저수확지에서의 증산 경험을 널리 일반화하자' 제목의 기사에서 올해 '벌방 지대'(농사 잘되는 땅) 뿐 아니라 '중(中)산간지대' 농촌들에서도 알곡생산량이 늘어났다며 그 비결은 척박한 토지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농사경험과 영농기술 때문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지금 일부 단위 일군(간부)들은 이런저런 조건을 내세우면서 앞선 영농방법과 기술을 전파하기 위한 사업에 발 벗고 나서지 않고 있다"며 "이 사업에서 경계해야 할 것은 본위주의 울타리를 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토지 상태가 좋지 않은 농촌들에서도 새 영농기술과 방법을 개발해 수확량을 대폭 늘렸지만, 이를 다른 농촌에 전수하거나 나누지 않는 '이기주의·본위주의'를 비판한 것이다.
노동신문의 이런 지적은 최근 들어 계속되는데 이는 농업부문에서 수확량 만큼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분조관리제'와 '포전담당제'의 일부 부작용을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김정은 집권 이후 2013년부터 협동농장의 운영을 종전 수십 명 규모의 작업반 단위에서 말단인 10∼15명 분조로 전환하고 특히 분조 내에 3∼5명을 중심으로 '포전(논밭)담당책임제'를 도입했다.
이 조치의 핵심은 지정 논밭에서 생산한 곡물 중 토지·관개·전기 사용료나 비료지원 등 국가가 제공한 영농물자 비용만큼만 반납하고 나머지는 농민들이 현금 아닌 현물을 받아 시장가격 수준으로 처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로 인해 1정보(3천평)당 벼 10t, 옥수수 10t 이상 매출을 올린 '부자' 농민들이 많이 배출되고 있다. 이는 곡물생산 증가를 촉진한 농업분야의 시장개혁적 조치로 꼽힌다.
그러나 김정은 정권이 최근 국가적인 식량 확보를 위해 낟알 한 알도 유실하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와중에 농장 자체 수익 증가만 신경 쓰는 현상들이 비일비재하면서 제동을 건 셈이다.
노동신문은 "국가의 이익 속에 단위의 이익도 있다"며 "올해 저수확지 농사에서 창조된 경험을 널리 일반화할 때 알곡 생산을 늘리기 위한 투쟁에서 성과가 확대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북한에서 '코딩 경연대회'…중학생부터 연구원·마니아 참여 21.11.23
- 다음글北선전매체 홈페이지 게시판에 대선주자 '술' 비유 폄훼 글 2021.11.23 09:4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