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2010년 이후 200㎢ 간척…식량난 해소엔 역부족"
  • 관리자
  • 2021-12-24 07:28:48
  • 조회수 : 246
북한, 홍건도 간석지·용매도 간석지 완공
북한, 홍건도 간석지·용매도 간석지 완공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홍건도 간석지와 용매도 간석지를 완공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2021.5.1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식량난 해소를 위해 꾸준히 간척사업을 진행해온 북한이 2010년 이후 개간한 면적이 약 200㎢에 이른다고 미국 북한전문매체 38노스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38노스에 따르면 고질적인 식량난에 시달려온 북한은 경작면적을 늘리기 위해 1980년대부터 꾸준히 서해안에서 간척사업을 벌여왔다.

초기 10년간은 열악한 토목기술과 보수 관리, 자연재해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김정은 국무위원장 체제에서 2010년 이후 평안북도와 황해남도에서 제방으로 약 200㎢ 면적의 땅을 확보하는 등 일부 성과를 냈다.

200㎢는 서울시 넓이의 3분의 1 정도 넓이다.

이 중 절반은 최근 3년간 개간한 지역이다.

북한 내 주요 간척사업이 진행된 지역은 총 12곳으로, 대계도와 홍건도 사업이 가장 규모가 크다. 대계도는 2010년 88㎢를 매립했다. 이외에 다사도, 곽산, 안석, 금성, 운촌, 서해리-능금도, 용매도, 월도, 싸리섬, 강령 등이 있다.

다만 이런 성과에도 북한의 만성적 식량난을 해소하는 데는 역부족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간척사업은 기간이 길고 위험부담이 크다. 1997년에도 15년간 간척 사업 후 해일로 대계도의 제방이 유실된 적이 있다. 소금물이 밀려들어 경작지를 못 쓰게 되기도 한다.

대계도 등 간척지역 대부분이 개펄이나 저수지로 남아 식량난에 즉각적인 도움을 주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38노스는 이들 지역이 그동안 양식업에 사용될 수 있었지만 규모가 작아서 국가의 식량 수요를 채우는 데에는 부분적으로만 기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997년 이후 개발 속도 등을 보면 북한은 국제적인 재난구호·개발 비정부기구(NGO)에서 꽤 많은 것을 배운 것으로 보인다고 38노스는 언급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