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2-03-18 10:07:46
- 조회수 : 290
북한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은 북한과 러시아 간 '경제적 및 문화적 협조에 관한 협정체결' 73주년을 맞은 17일 '쌍무 관계 발전을 추동한 역사적 계기' 제목의 글을 실어 양국의 유대를 과시했다.
신문은 오랜 기간 돈독했던 두 나라가 2019년 4월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을 계기로 새로운 단계에 올라섰다고 평했다.
이어 "오늘 제국주의자들의 강권과 전횡을 짓부수고 나라의 자주권을 지키는 길에서 두 나라 인민은 공동보조를 맞추며 지지와 연대성을 강화해나가고 있으며 이 길에서 친선의 유대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친선 관계를 끊임없이 공고 발전시키는 것은 지역의 평화와 안정보장, 발전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조선(북한)과 러시아는 자주·평화·친선의 이념에 따라 전략적이며 전통적인 친선 관계를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자주권 사수를 외치면서도 정작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러시아 편을 드는 배경에는 정치적 목적과 경제적 이유가 상존한다.
먼저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중 하나로 대북 추가 제재를 반대하고 기존 제재 완화 목소리를 내면서 북한을 편드는 몇 안 되는 나라다.
이에 북한 외무성은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내놓은 첫 공식 입장에서 "사태의 근원은 전적으로 다른 나라들에 대한 강권과 전횡을 일삼는 미국과 서방의 패권주의 정책"이라고 러시아를 두둔한 바 있다.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141개국의 압도적 지지로 가결될 때는 반대표를 던진 5개국 중 하나로 남기도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경을 닫아걸면서 쇠약해진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선 우방인 러시아의 조력도 필요하다.
신홍철 러시아 주재 북한 대사와 알렉세이 체쿤코프 러시아 장관은 지난달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 경제적 유대와 교역을 단계적으로 회복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北매체, 국민의힘 맹비난…"대결적 흉심 달라지지 않아" 22.03.18
- 다음글북한의 최우선 투쟁 대상 올해도 ‘한류’… “엄히 처벌하라” 2022.03.17 10:4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