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에 가려진 17호 관리소…北, 위치 정보 등 극비로 다뤄
  • 북민위
  • 2024-03-26 08:52:19
  • 조회수 : 194

17호 관리소(정치범수용소) 위치 정보가 북한 내부에서도 극비로 취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데일리NK 북한 내부 소식통은 17호 관리소의 위치에 대해 “그곳은 비밀리에 운영되고 있어 (사회)안전성 문건에도 정확한 지역명이나 산, 동에 대한 정보가 없다”며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리 정보는 엄격한 기무(機務) 정책에 의해 특별하게 통제돼 있다”고 25일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실제 지명이 아닌 가상의 지명으로 17호 관리소의 위치 정보를 숨기고 있다. 17호 관리소는 문건 상 개천시 명○동에 본소가, 건○1동과 2동에 각각 분소가 소재하는 것으로 돼 있긴 하나 명○동이나 건○동은 일반 주민들이 전혀 알지 못하는 지명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그는 “개천시라고 하지만 실제 개천시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17호 관리소가 실제로는 개천시 행정구역 안에 속해 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17호 관리소에 관한 정보가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은 관리 주체인 사회안전성의 철저한 기밀 정책 때문이라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17호 관리소의 존재와 운영 등 관련 정보를 모두 최고급 기밀로 다루고 있으며, 이것이 유출되지 않도록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안전성에서도 극소수의 성원들만 이(17호 관리소) 정보에 접근 가능해 같은 안전성 사람이라도 알 수 없고, 관리소 실정에 대한 것도 제한된 성원과 문서로만 단선 통제 보고되고 있다”면서 “17호 관리소는 관리자 가족들의 거주, 이사, 퇴거까지도 모두 비밀로 다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통일연구원은 2013년 발표한 ‘북한 정치범수용소’ 보고서에서 17호 관리소가 지난 1983년경에 폐쇄됐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본보의 취재 결과 해당 관리소는 2014년 11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부활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벌어진 대대적인 숙청 여파로 폐쇄됐던 관리소를 부활시키는 한편, 이를 극비로 운영하고 있다는 얘기다.

현재 17호 관리소에는 당 정책을 비판하고 국가에 반기를 든 정치범들이 수감돼 있으며, 대부분 종신(終身)형이라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소식통은 “이곳에는 당과 수령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내거나 국가가 지정한 반동적 행위를 한 대상들뿐만 아니라 종교적 활동가, 해외 및 국내에서 한국행을 시도한 자들과 그 가족, 정부 정책에 의문을 제기한 대상들이 수용돼 있다”며 “이들은 짐승보다 못한 한심한 생활 조건에서 죽지 못해 살고 있다”고 전했다.

본보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17호 관리소 수감자는 2020년 약 2만 1000명이었으나 2023년 약 4만 4000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코로나 비루스(바이러스) 시기 국가에 대한 내부적인 불만 요소가 많이 증가해 정치적 의견 표출자, 정책적 반대자들이 속출하면서 관리소 인원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17호 관리소는 안전성 산하 관리소 중에서 제일 교화가 강한 곳”이라며 “이곳은 교화해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보다 사회에서 격리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운영되고 있다”고 했다.

북한 정치범수용소는 출소 가능성이 있는 ‘혁명화구역’과 한번 들어가면 다시는 사회로 복귀할 수 없는 ‘완전통제구역’으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사회안전성 산하 관리소는 혁명화구역으로, 국가보위성 산하 관리소는 완전통제구역으로 운영된다.

17호 관리소의 경우에는 사회안전성 산하에 있지만 완전통제구역처럼 운영되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