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2-03-28 07:20:20
- 조회수 : 512
1∼6차 핵실험으로 위력은 확보…중단거리 미사일에 탑재하려면 소형화 필수
"우크라 사태후 '우리식대로 살아간다' 방침 따라 ICBM·핵실험 모라토리엄 파기"
북한이 4년 전 폭파한 풍계리 핵실험장을 단기간에 복구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이어 7차 핵실험도 조만간 감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의 4개 주갱도 중 내부가 가장 양호할 것으로 추정되는 '3번 갱도'를 복구하는 것으로 미뤄 이 갱도를 핵실험 장소로 선택한 것으로 관측된다.
4년 전 외신을 초청해 100m가량 폭파한 입구를 원상 복구하는 대신, 보다 이른 시일 내에 공사를 끝내기 위해 갱도 내부로 향하는 '지름길'에 해당하는 새 통로를 굴착 중인 정황이 포착됐다.
폭파로 무너진 각종 자재가 뒤엉킨 입구를 복원하는 것보다 아예 3번 갱도 '옆구리'를 새로 뚫고 들어가는 것이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도 쉽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3번 갱도는 내부가 다시 두 개의 갱도로 나뉘는 이중 구조로, 현재 진행 중인 작업 속도로 미뤄 빠르게는 한 달 정도면 복구가 가능하리라 당국은 판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2017년 9월 6차 핵실험 이후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에는 중·단거리 미사일에 탑재할 소형 전술핵폭탄 개발을 위한 폭발시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폭발력이 10~20kt(킬로톤·1kt은 TNT 1천t의 폭발력) 정도의 소형 핵탄두를 개발하기 위한 시험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항공대 장영근 교수는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한다면 전술핵무기 개발 목적일 것"이라며 "수십 킬로톤 규모의 위력 테스트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술핵은 도시 전체를 파괴할 정도로 위력이 큰 전략핵과 달리 주로 국지전에서 활용되는 저위력 소형 핵무기를 말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1월 8차 노동당 대회에서 핵무기의 소형·경량화, 전술무기화를 강조하면서 전술핵 무기 개발과 초대형 핵탄두 생산 등을 주요 과업으로 제시한 바 있다.
북한이 지난 2년여간 여러 종류의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을 완료한 점을 고려하면, 신형 미사일에 탑재하기 위한 소형 전술핵 시험이 필요하다는 해석이다.
통상 이론적으로도 1∼6차 핵실험 정도면 원자탄과 수소탄 등 핵 위력 성능이 어느 정도 검증됐다고 본다는 점도 이런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북한도 지난 2017년 9월 6차 핵실험과 같은 해 11월 ICBM 화성-15형 발사 이후 '핵무력 완성'을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이 핵무기 소형화 기술을 확보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장 교수는 "북한이 핵무기 소형화 기술을 가졌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라면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전략(무기) 도발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입장에서는 지금이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로 대미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절호의 기회'로 여길 것이란 분석도 적지 않다.
정부 고위 소식통은 "북한은 우크라이나 사태를 지켜보면서 '우리식대로 살아간다'는 방침을 확고히 한 정황들이 속속 포착되고 있다"면서 "이런 방침에 따라 ICBM 도발에 이어 핵실험 카드가 만지작거리고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미중 갈등 등으로 인한 서방과 중국, 러시아 간 대립이 심화하고 있어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추가 결의 채택 등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어서다.
안보리 결의 채택을 위해서는 15개 이사국 가운데 9개국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고 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 중국·러시아의 협조 없이는 대북 추가 제재가 불가능한 것이다.
중국·러시아는 북한이 2016∼2017년 핵실험을 하거나 ICBM 발사했을 땐 제재 수위를 두고 줄다리기를 했을지언정 제재 자체엔 반대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당장 지난 24일 북한의 ICBM 도발 재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북한을 규탄하는 언론 성명을 내는 방안도 중국·러시아의 반대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중국과 러시아도 ICBM에 이어 핵실험까지 안보리 결의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고강도 도발을 잇따라 그냥 넘기기엔 부담이 클 수 있다는 시각도 일부 있다.
이에 북한이 우선 단기간에 풍계리 핵실험장을 복구한 뒤 국제사회 움직임을 지켜보면서 도발 수위를 조절할 것이라는 관측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북, ICBM 발사 대내선전 '자제'…민생난 주민여론 의식했나 22.03.28
- 다음글北, 호주 ICBM비판에 "'오커스' 핵전파 장본인의 지적 어불성설" 2022.03.28 07:1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