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1-08-23 06:27:44
- 조회수 : 408
'석유 대신 석탄' 탄소하나화학공업 여의치 않자 폐유 재사용에 골몰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대북제재로 석유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이 폐유의 불순물을 걸러 재사용하는 등 안간힘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도윤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폐유를 재이용하니 얼마나 좋은가' 기사를 싣고 "최근 평양화력발전소에서 자체의 힘으로 폐유 재자원화(재활용) 기술을 완성했다"며 폐유의 불순물을 제거해 터빈유로 활용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번 이용하고 버리던 폐유를 재자원화할 수 없겠는가"라며 "폐유를 재자원화한 제품의 기술적 지표가 새 제품 수준에 도달했으며 실수율은 80% 이상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 확증됐다"고 설명했다.
이보다 앞서 지난 6월 남포유화생산사업소에서 선박과 자동차에서 나오는 폐유를 활용해 디젤유와 윤활유 기초유를 생산했다고도 조선중앙TV는 전했다.
작년부터 폐유 재활용이 적극적으로 권장돼 왔고 폐유로 비누나 농약 등의 제품을 만드는 경우는 있었지만, 이제는 정화해 터빈유로까지 재활용하기 시작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제작 조혜인]
이는 대북 제재로 원유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의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는 2017년 결의 2397호를 통해 1년간 북한에 공급할 수 있는 정제유를 총 50만 배럴로 제한하고, 회원국이 북한에 제공한 정제유 양과 금액을 보고하도록 했다.
이와 별도로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2018년 내각 원유공업성을 특별지정 제재대상 명단에 올렸다. 제재 명단에 오른 이들과 거래하거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세컨더리 제재'(제3자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기조 속에 지난해 내각 기구인 원유공업성이 원유공업국으로 축소되기도 했다.
북한은 그간 제재에 맞서 자력갱생을 강조해왔지만, 산유국이 아닌 만큼 석유 조달에는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석유 대신 북한에 풍부한 석탄을 원료로 활용하는 '탄소하나화학공업'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지만 몇 년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들여오는 정제유는 한계가 있고, 선박 불법 환적 역시 국제사회의 감시와 유조선 몰수 조치 등으로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한정된 정제유를 돌려 쓰는 것 말고는 뾰족한 수가 없었던 셈이다.
이번 폐유 재이용이 화력발전소에서 이뤄졌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북한은 만성적인 전력난을 겪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마저 올 2월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탄광·광산에서도 전기가 보장되지 않아 생산이 중지되는 애로가 존재한다"고 인정한 바 있다.
경제 되살리기에 주력하고 있는 북한 입장에서는 전력 공급은 급선무였기에 폐유 재이용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절박한 상황이 읽힌다.
다만 재활용된 폐유가 문제없이 작동할지는 미지수다.
노동신문 역시 "터빈유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기본인자인 불순물을 말끔히 제거하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었다"며 당초 실험에서 실수율이 50% 정도였다고 언급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北, '최대수해' 함남 신흥서 복구 땀방울…"많은 집 떠내려가" 21.08.23
- 다음글북한 외무성 "국제여론, 아프간 사태 두고 미국 책임에 큰 관심" 2021.08.23 06:2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