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1-09-27 06:29:22
- 조회수 : 409
"남북정상회담·종전선언 등 논의하려면 일단 대화 호응부터"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정래원 기자 =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남북정상회담과 종전선언 등을 논의할 수 있다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낸 가운데 남북간에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연락선 복원'이 꼽힌다.
김 부부장은 지난 25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경색된 북남 관계를 하루빨리 회복하고 평화적 안정을 이룩하려는 남조선(남한) 각계의 분위기는 막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렬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면서 "우리 역시 그 같은 바람은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양측의 관계 개선 의지를 인정한 셈으로, 김 부부장은 종전선언과 연락사무소 설치·정상회담을 직접 언급하며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제안한 종전선언을 매개로 남북 대화를 재개하려는 의지가 읽힌다.
다만 김 부부장이 언급한 남북 현안들을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먼저 '대화 채널'이 열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남북 간 통신연락선은 지난해 6월 북한이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하며 단절한 이후 지난 7월 13개월 만에 전격 복원됐지만, 이후 한미합동군사 연습에 대한 북측의 반발로 2주 만에 다시 '먹통'이 됐기 때문이다.
통일부는 평일 오전과 오후에 1차례씩 정기통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북측의 응답은 없는 상황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26일 "북한도 존중과 합의 이행을 위해서는 이른 시일 내에 통신선 복원을 먼저 하는 것이 수순"이라고 강조했다.
양 교수는 "결국 상호존중과 합의 이행을 위해서는 대화가 필요하다"면서 "우선 연락선 복원이 먼저 돼야 남북 간에 '도발' 등 언어에 대한 오해도 풀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도 "조만간 남북 간에 대화 재개 신호를 교환한 이후 통신선 복구→남북 대화→남북공동연락사무소 재설치→남북정상회담→추가 군사합의→종전선언 등의 빠른 일정을 소화해 내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연락선 복원은 북한으로서는 별도의 선언 없이 남측 정부의 정기통화 시도에 응답만 하면 되기 때문에 부담이 적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만약 북한이 연락선 복원에 응하지 않는다면 정부로서는 담화나 발표 형식으로 대화를 제의하는 방법도 있다.
지난 2018년에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참석 용의를 밝히자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이 남북 고위급 회담을 공식 발표로 제의했고, 다음날 북측이 조선중앙TV를 통해 연락채널 개통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양 교수는 "우리로서는 북한의 진의를 좀 더 파악하기 위해 친서 교환을 하거나 남북대화를 제의하는 것도 방법"이라면서 "남북 최고지도자 간에는 신뢰가 쌓여 있고, 과거에도 이를 활용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할 명분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호위사령부 창립일에 ‘사적갱도’ 담당 55처장이 공개총살된 이유 21.09.27
- 다음글김여정 "존중 유지되면 종전선언·남북정상회담 논의할 수도" 2021.09.27 06:2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