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접경지 '평화경제특구' 밀그림 나왔다…3개 권역 특화단지 조성
  • 북민위
  • 2025-04-11 06:37:23
  • 조회수 : 17
이미지 확대평화경제특구 기본구상
                                                                    평화경제특구 기본구상

접경지역의 균형발전과 남북경제공동체 실현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평화경제특구의 기본구상이 확정됐다.

통일부는 평화경제특구위원회(위원장: 통일부 장관) 첫 회의를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4일까지 서면 개최해 '평화경제특구 기본구상'을 확정하고 10일 발표했다.

2023년 말 시행된 '평화경제특별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평화경제특구법)에 따라 조성되는 평화경제특구는 그동안 소외된 접경지역을 개발해 국토의 균형발전을 꾀하고 장기적으로 남북경제공동체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경기·인천·강원의 15개 시군이 지정됐다.

이날 발표된 기본구상은 평화경제특구 15개 시군을 서부권, 중부권, 동부권으로 나눠 각 권역에 특화한 산업단지를 육성·발전시킨다는 밑그림을 담았다.

강화·옹진·김포·파주·고양으로 구성된 서부권은 '미래 혁신제조업, 신산업 분야 첨단산업단지'로, 양주·동두천·연천·포천·철원으로 구성된 중부권은 '농업+관광+경공업 융합형단지'로 각각 발전시킬 계획이다.

춘천·화천·양구·인제·고성이 포함된 동부권은 '관광중심 첨단물류·서비스 특화단지'로 육성한다는 방향을 정했다.

평화경제특구에는 지방세·부담금 감면 등 세제 혜택과 함께 자금 및 기반시설이 지원된다.

통일부는 연내에 평화경제특구 기본계획을 수립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기본구상에는 ▲ 남북경제공동체 구현에 기여 ▲ 접경지역 균형발전 실현 ▲ 지속 가능한 추진체계 구축이 평화경제특구의 목표로 제시됐다.

통일부는 이번 기본계획은 남북관계의 현실을 고려해 남북 경제 교류 등 남북경제공동체 실현은 장기적 과제로 두고 국토 균형발전에 우선 초점이 맞춰졌다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