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민위
- 2023-12-01 07:14:18
- 조회수 : 320
국방부는 30일 군사작전에 여러 제한사항이 있기 때문에 '9·19 남북군사합의'의 전면적인 효력정지가 필요하다고 거듭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전면적인 효력 정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유관기관에 전달해왔다"며 이렇게 말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도 지난 23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역대 남북 합의 중 최악의 합의가 9·19 군사합의"라며 "폐기하는 것이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킨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북한은 우리 정부가 자신들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22일 9·19 군사합의 중 '비행금지구역 설정'(제1조 3항)의 효력을 정지하자, 이튿날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전 대변인은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를 공식 선언하고 노골적으로 복원 조치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국민 보호를 위한 대비태세 완비 차원에서 대응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9·19 합의 효력 정지를 위한 우리 정부의 추가적인 조치는 필요 없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군사조치 복원에 우리도 군사적으로 대응하면 될 뿐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한 효력정지 때와 달리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정지를 위해 국무회의 의결 등 절차가 필요하지는 않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의 최전방 감시초소(GP)는 완전 파괴됐지만, 북한군 GP는 지하시설이 남아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북측의 GP 지하시설 상황은 추가적으로 분석해야 할 부분이 있을 것 같다"며 "우리 측의 GP가 그때 당시에 완전히 폭파돼 사용을 현재는 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은 맞다"고 답했다.
남북은 5년 전 군사합의에 따라 각각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운영 중이던 11개 GP 중 10개를 파괴했고,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남북은 파괴된 10개의 GP에 대해 상호 검증했고, 당시 우리 정부는 북측 GP가 완전히 파괴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4일부터 9·19 군사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11개 GP에 병력을 투입해 감시소를 설치하고 진지를 구축했으며, 무반동총 등 중화기도 반입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외통위, 중국의 탈북민 강제북송 중단 촉구 결의안 의결 23.12.01
- 다음글"북 핵잠수함 위협 맞서 한일도 핵잠수함 여러 척 보유해야" 2023.12.01 07:1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