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민위
- 2023-06-27 07:19:39
- 조회수 : 312
중국의 마약 범죄 적발 건수가 10년 만에 최소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북한과 중국 간 국경이 봉쇄되고, 인적 왕래를 엄격하게 단속하면서 '세계의 마약공장'으로 불리는 북한산 마약의 중국 반입이 차단된 데 따른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중국 공안부가 최근 발표한 '마약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중국에서 적발된 마약 범죄 건수는 3만5천건에 그쳤다.
2015년 16만여건이었던 것과 비교해 7년 만에 78% 급감한 것이다.
작년 한 해 검거된 마약 사범은 5만3천명, 압수한 마약은 21.9t이었으며, 19만7천명의 마약 이용자를 적발했다.
마약 사범은 전년보다 24.3% 줄었고, 압수한 마약과 마약 이용자는 각각 18.7%, 39.7% 감소했다.
공안부는 "마약 관련 범죄가 전반적으로 지속 개선되고 있다"며 "마약 범죄는 10년 이래 최소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마약 범죄 단속을 위한 국제적인 공조를 강화해 최근 수년간 국경을 넘나드는 마약 범죄 800여건을 해결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중국 마약 범죄 감소는 공안 당국의 대대적인 단속과 더불어 북한산 마약 반입 루트가 막힌 것도 한 원인으로 꼽힌다.
과거 북한 접경인 중국 동북 지역은 세계적인 마약 밀매 루트로 꼽혀왔다.
속칭 '빙두(氷毒·얼음 마약)'로 불리는 북한산 마약이 지린성 옌볜 자치주와 북중 최대 교역거점인 랴오닝성 단둥 등을 통해 대량 반입돼 중국은 물론, 해외로도 유통됐다.
신장에서 활동하던 중국 최대 마약 밀매조직이 당국의 단속을 피해 근거지를 중국 동북 지역으로 옮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농민들에게 종자를 공급해 대마를 생산한 뒤 추출한 마약 원료를 북한에 보내 가공된 마약을 들여왔다는 것이다.
또 북한 당국이 독점해오던 마약 제조 기술이 민간에 유출되면서 북한산 마약 유통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2010년 6월 지린성에서 53명 규모의 대형 마약 밀매 조직이 검거됐는데 이들은 북한에서 들여온 마약을 신장으로 가져가 해외 마약 밀매 조직에 넘겼던 것으로 드러났다.
같은 해 8월에는 산둥성 웨이하이시 인민법원이 마약 밀매 혐의로 기소된 북한인 1명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하는 등 중국에서 북한 마약사범도 잇따라 검거됐다.
앞서 2009년에는 단둥 마약수사대 부대장과 대원 등 2명이 북한산 마약 밀매 혐의로 체포돼 사형 유예 판결을 받아 충격을 줬다.
북한 비밀 경찰조직인 국가보위성은 2016년 5월 '70일 전투' 기간에만 마약 밀매범 500여명을 적발했다며 "중국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북한 내 마약이 광범위하게 유통되고 있으며 엘리트층도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고 일본 마이니치신문이 2017년 8월 보도한 바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하자 북한이 2020년 초부터 3년여간 중국과의 국경을 전면 봉쇄하고, 코로나19 유입 차단을 위해 북중 간 인적 왕래를 엄격히 단속하면서 북중 접경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이뤄졌던 마약 유통이 원천 차단됐을 것으로 대북 소식통들은 관측했다.
한 대북 소식통은 "걸어서도 넘을 수 있을 만큼 강폭이 좁고, 수심이 낮은 두만강과 압록강 상류를 통해 북중 간 마약 밀매가 빈번했고, 북한 변경 수비대도 묵인하곤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이 코로나19 유입을 지상 과제로 삼아 변경 지역 인적 왕래를 철저히 차단하면서 마약 밀매 루트도 원천 봉쇄됐을 것"이라며 "북중의 코로나19 방역 통제가 중국 내 마약 범죄를 감소시키는 데는 '효자 노릇'을 한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북한 국경 세관 초소병 방역복 벗어…"국경개방 관련 중대신호" 23.06.27
- 다음글정전 70주년 기념 'DMZ 자유·평화 대장정' 내달 개막 2023.06.27 07: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