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민위
- 2024-01-12 06:43:11
- 조회수 : 418
미국 백악관이 10일(현지시간) 북한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사이의 군사적 협력에 대해 '아는 바 없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한미 양국의 정보 판단에 미묘한 '엇박자'가 난 듯한 모양새가 됐다.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하마스에 무기를 제공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질문받자 "하마스와 북한 사이에 어떤 군사적 협력이 있다는 징후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반면 앞서 한국 국가정보원은 지난 8일 하마스가 사용한 F-7 로켓의 신관(포탄 기폭장치) 부품이 북한산으로 보인다는 미국의소리(VOA) 방송 보도에 대해 "동일하게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정원은 "북한이 하마스 등을 대상으로 무기를 제공한 규모와 시기에 관해 구체적인 증거를 수집·축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측이 완전히 상치되는 발언을 한 것은 아니지만 북한-하마스간 군사 거래 의혹에 대한 정보 판단에서 '온도 차이'가 감지됐다.
이와 관련, 미국 정부 당국자는 한미간 정보 판단의 간극 유무에 대한 연합뉴스의 질의에 "우리는 역사적으로, 그리고 최근에 공개된 영역에서 북한의 무기가 하마스에 의해 사용된 증거물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이 당국자는 "커비 조정관이 오늘 브리핑에서 말한 바와 같이 우리는 북한과 하마스의 군사협력 징후는 보지 못했다"고 재확인했다.
결국 미국은 '하마스의 북한산 무기 사용' 증거는 자신들도 인지하고 있으나 그 증거가 곧바로 '북한-하마스간 군사협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이 러시아에 탄도미사일 등 무기를 제공하고 반대급부를 받는 식의 직접적인 거래와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미측 판단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마스가 북한에 직접 '주문'을 넣고 무기도 직접 전달받은 것이 아니라, 제3국의 개인 또는 단체 등 중개상을 거쳐 북한 무기가 하마스에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을 미측은 배제하지 않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북한과 하마스가 작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및 그 이후 모종의 군사협력을 하고 있는 정황은 파악한 바 없다는 것이 미국의 입장일 수도 있어 보인다.
커비 조정관과 또 다른 미국 당국자의 이 같은 입장에서는 고도의 민감성을 가진 북한 문제에 대해 최대한 입증된 내용에 기반해 입장을 밝히는 신중한 태도가 엿보인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전세계 대량살상무기 비확산 체제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으로선 북한산 대량살상무기 등이 중동의 비국가조직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최악의 시나리오 중 하나로 여기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런 만큼 미국은 북한과 중동의 테러 조직 또는 무장 단체 사이의 직접적 무기거래 등 '군사협력'을 막기 위해 고도의 감시망을 가동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특별감찰관 추천 이번엔 될까…北인권재단 연계 여야 이견 24.01.12
- 다음글국제사회 통일인식 매년 조사…"통일 공공외교 나침반으로" 송고시간2024-01-11 10:31 2024.01.12 06: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