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권력승계] 3대혁명소조운동 발기 과정
- 관리자
- 2010-05-21 10:27:31
- 조회수 : 2,768
북한에서 3대혁명소조운동을 공식적으로 결정한 것은 1973년 2월 1일 당중앙위원회 정치위원회에서였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 이전에 사전 준비 작업이 있었다.
우선 1972년 9월 당조직들에서 선발된 당핵심들과 지식있는 대학생들도 지도소조를 경공업 공장들에 파견하였다.
지도방법의 성과를 검증하고 일반화 작업을 거친 후 인민경제의 여러 부문에 다시 당중앙위원회의 지도소조를 연이어 파견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이후 1972년 11월 철도운수부문에 지도소조가 파견되었고, 1973년 1월에는 노력예비를 동원하기 위한 지도소조가 중요 공장, 기업소들에 파견되었다.
북한에서는 당핵심들과 대학생들로 3대혁명소조를 조직·파견하였으나 이후 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당중앙위원회 일군들을 비롯한 당일군들과 국가, 경제기관 일군들, 근로단체일군들, 그리고 과학기술일군들과 청년인텔리들을 망라하였으며 청년인텔리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90%가 되었다.
<확대 과정>
1973년 2월 대대적으로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는데 먼저 공장, 기업소에 소조원들을 파견한 직후 김종태전기기관차공장을 비롯한 평양시의 주요 공장, 기업소들에서 활동하는 소조원들을 찾아 해당 공장, 기업소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는 형태로 사업이 진행되었다.
또한 3월초에는 평양시뿐만 아니라 인근 남포지구에 대한 지도도 병행하면서 지역별로 점검을 하는 형태로 발전되었다.
◇표 제목 : 3대혁명소조운동과 관련한 주요 내용
◆출처: 탁용달, "3대혁명소조운동에 관한 연구-사회·경제적 변화를 중심으로,", 동국대 북한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3, p.74.
중요한 회의 결정을 보면 3대혁명소조운동이 추구하였던 목표가 당내 기관본위주의, 관료주의와 같은 폐단을 제거하기 위해 추진한 운동이라는 것이다.
3대혁명소조원들이 직접 노동에 참여하는 형태가 아닌, 정치·사상적 지도를 병행하여 생산을 확대시키는 것이었던 것이다.
한편 북한은 소조운동이 확대되어감에 따라 소조원들의 역량을 더욱 확대·강화하려는 목적으로 김일성종합대학을 비롯한 각 대학의 우수한 졸업생들을 소조원으로 파견하는 등 구성을 부단히 보강, 정비하는 조치를 취했다.
특히 1982년 북한은 이전보다 훨씬 강력한 소조를 농촌경리부문에 파견하였는데 이는 농촌이 도시에 비해 사상, 기술, 문화적으로 낙후되어 있다는 것과 김일성이 제6차당대회에서 제시한 1500만톤 알곡생산을 보장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1984년 황장엽은 <3대혁명소조원대회>에서 소조 운동 개시 후 현재까지 각처에 파견된 소조원의 수는 10만8700명, 활동 중인 인원은 4만 1600명, 이중 1만1600명이 당에 가입하였고 1명의 공화국영웅과 23명의 로력영웅이 배출되었으며, 1124명에게는 국기훈장 제1급이 수여되는 등 총 3만 5400여명에게 국가표창의 영예가 안겨졌다고 밝혔다.
<지도체계의 확립>
3대혁명소조운동은 기존 조직 특히 당조직과의 관계가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소조원들이 김일성·김정일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기존의 당·행정·경제관료들이 매우 위축되었고 소조원들은 김일성·김정일의 ‘친위대·근위대’라는 역할의 부여와 함께 이로 인해 사업을 그르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1974년 2월 공업과 농업 부문 3대혁명소조를 따로따로 지도하던 체계를 없애고 당중앙위원회가 통일적으로 장악지도하는 새로운 조치를 취했으며 1975년 3월에는 중앙과 도,시,군에 있던 3대혁명소조종합실을 3대혁명소조지휘부로 개편하였다.
◇표 제목 : 공업부문 3대혁명소조와 당조직체계간의 관계
◆출처: 1)김윤환, "북한경제체제의 형성과정," 『 북한경제의 전개과정 』(서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0), p.46, 53. 2) 박형중, 『 북한의 경제관리체계 : 기구와 운영, 계획과 변화 』(서울: 해남, 2002), p.131.
3대혁명소조부는 당중앙위원회 산하 부서로 존재하면서 당중앙위원회에서 당의 명령을 하달할 때 경제부서와 3대혁명소조부로 각각 하달하고, 경제부서는 고유의 관리와 감독을 진행하고, 3대혁명소조부 또한 사상, 기술, 문화의 3대혁명 수행여부와 지도를 병행해 나가는 이중의 관리감독 기구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으며 실무중심의 교육적 기능도 병행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한편 3대혁명소조원에 대한 교육체계도 확립하였다.
새로 파견되는 3대혁명소조원들을 위한 강습과 기존의 소조원들을 무장시키기 위한 강습 및 방식상학, 경험교환회 등을 조직하여 진행했고 소조책임자들이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간부들을 위한 ‘한달강습’에 참가하도록 하였으며 부족한 전문지식을 보충하기 위한 기술교육도 진행하면서 사상, 기술, 문화의 본보기 단위 및 3대혁명전시관을 만들어 보여줌으로써 성과를 많이 올린 경험을 일반화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 이전에 사전 준비 작업이 있었다.
우선 1972년 9월 당조직들에서 선발된 당핵심들과 지식있는 대학생들도 지도소조를 경공업 공장들에 파견하였다.
지도방법의 성과를 검증하고 일반화 작업을 거친 후 인민경제의 여러 부문에 다시 당중앙위원회의 지도소조를 연이어 파견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이후 1972년 11월 철도운수부문에 지도소조가 파견되었고, 1973년 1월에는 노력예비를 동원하기 위한 지도소조가 중요 공장, 기업소들에 파견되었다.
북한에서는 당핵심들과 대학생들로 3대혁명소조를 조직·파견하였으나 이후 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당중앙위원회 일군들을 비롯한 당일군들과 국가, 경제기관 일군들, 근로단체일군들, 그리고 과학기술일군들과 청년인텔리들을 망라하였으며 청년인텔리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90%가 되었다.
<확대 과정>
1973년 2월 대대적으로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는데 먼저 공장, 기업소에 소조원들을 파견한 직후 김종태전기기관차공장을 비롯한 평양시의 주요 공장, 기업소들에서 활동하는 소조원들을 찾아 해당 공장, 기업소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는 형태로 사업이 진행되었다.
또한 3월초에는 평양시뿐만 아니라 인근 남포지구에 대한 지도도 병행하면서 지역별로 점검을 하는 형태로 발전되었다.
◇표 제목 : 3대혁명소조운동과 관련한 주요 내용
◆출처: 탁용달, "3대혁명소조운동에 관한 연구-사회·경제적 변화를 중심으로,", 동국대 북한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3, p.74.
중요한 회의 결정을 보면 3대혁명소조운동이 추구하였던 목표가 당내 기관본위주의, 관료주의와 같은 폐단을 제거하기 위해 추진한 운동이라는 것이다.
3대혁명소조원들이 직접 노동에 참여하는 형태가 아닌, 정치·사상적 지도를 병행하여 생산을 확대시키는 것이었던 것이다.
한편 북한은 소조운동이 확대되어감에 따라 소조원들의 역량을 더욱 확대·강화하려는 목적으로 김일성종합대학을 비롯한 각 대학의 우수한 졸업생들을 소조원으로 파견하는 등 구성을 부단히 보강, 정비하는 조치를 취했다.
특히 1982년 북한은 이전보다 훨씬 강력한 소조를 농촌경리부문에 파견하였는데 이는 농촌이 도시에 비해 사상, 기술, 문화적으로 낙후되어 있다는 것과 김일성이 제6차당대회에서 제시한 1500만톤 알곡생산을 보장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1984년 황장엽은 <3대혁명소조원대회>에서 소조 운동 개시 후 현재까지 각처에 파견된 소조원의 수는 10만8700명, 활동 중인 인원은 4만 1600명, 이중 1만1600명이 당에 가입하였고 1명의 공화국영웅과 23명의 로력영웅이 배출되었으며, 1124명에게는 국기훈장 제1급이 수여되는 등 총 3만 5400여명에게 국가표창의 영예가 안겨졌다고 밝혔다.
<지도체계의 확립>
3대혁명소조운동은 기존 조직 특히 당조직과의 관계가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소조원들이 김일성·김정일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기존의 당·행정·경제관료들이 매우 위축되었고 소조원들은 김일성·김정일의 ‘친위대·근위대’라는 역할의 부여와 함께 이로 인해 사업을 그르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1974년 2월 공업과 농업 부문 3대혁명소조를 따로따로 지도하던 체계를 없애고 당중앙위원회가 통일적으로 장악지도하는 새로운 조치를 취했으며 1975년 3월에는 중앙과 도,시,군에 있던 3대혁명소조종합실을 3대혁명소조지휘부로 개편하였다.
◇표 제목 : 공업부문 3대혁명소조와 당조직체계간의 관계
◆출처: 1)김윤환, "북한경제체제의 형성과정," 『 북한경제의 전개과정 』(서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0), p.46, 53. 2) 박형중, 『 북한의 경제관리체계 : 기구와 운영, 계획과 변화 』(서울: 해남, 2002), p.131.
3대혁명소조부는 당중앙위원회 산하 부서로 존재하면서 당중앙위원회에서 당의 명령을 하달할 때 경제부서와 3대혁명소조부로 각각 하달하고, 경제부서는 고유의 관리와 감독을 진행하고, 3대혁명소조부 또한 사상, 기술, 문화의 3대혁명 수행여부와 지도를 병행해 나가는 이중의 관리감독 기구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으며 실무중심의 교육적 기능도 병행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한편 3대혁명소조원에 대한 교육체계도 확립하였다.
새로 파견되는 3대혁명소조원들을 위한 강습과 기존의 소조원들을 무장시키기 위한 강습 및 방식상학, 경험교환회 등을 조직하여 진행했고 소조책임자들이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간부들을 위한 ‘한달강습’에 참가하도록 하였으며 부족한 전문지식을 보충하기 위한 기술교육도 진행하면서 사상, 기술, 문화의 본보기 단위 및 3대혁명전시관을 만들어 보여줌으로써 성과를 많이 올린 경험을 일반화하도록 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