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16-11-14 09:19:39
- 조회수 : 1,921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차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국무장관 후보군에 거론되는 인사들이 대부분 과거 대북 강경론을 폈던 것으로 나타나 이들 중 한 명의 입각이 미국 대북 정책의 강경화로 연결될지 주목된다.
뉴트 깅리치 전 하원의장, 존 볼턴 전 유엔 주재 대사, 밥 코커 상원 외교위원장, 리처드 하스 미국 외교협회 회장 등 국무장관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이들은 강경한 대북 발언 및 행동을 취해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깅리치 전 의장은 한때 대북 공격론까지 거론했다.
깅리치는 2010년 7월 29일 미국기업연구소(AEI)에서 행한 연설에서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악의 축'으로 규정했던 북한과 이란, 이라크 가운데 이라크만 공격했으나 나머지 북한과 이란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직후인 2011년 12월 28일 "우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독재정부를 교체하는 것"이라며 "북한을 지속적으로 압박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네오콘'(신 보수주의자)의 핵심인물 중 하나인 볼턴 전 대사는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 기조인 '전략적 인내' 정책과 북한과의 대화 시도를 지속적으로 비판해왔다.
볼턴은 2011년 1월 4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문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는 것은 나약함과 우유부단함을 드러내게 될 뿐"이라고 주장했고 같은 해 9월 시사잡지 `내셔널 리뷰' 기고문에서는 "오바마 대통령의 이른바 `전략적 인내' 정책이 결과적으로 북한의 우라늄농축과 탄도미사일 개발 등을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또 2013년 2월 20일자 WSJ 기고문에서 북한의 핵위협에 대처하는 가장 확실한 대안은 "현재의 북한 정권을 핵을 포기할 정권으로 교체하는 것"이라면서 "이런 목적은 한반도의 평화적인 통일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커 위원장은 대북 제재 강화를 주장했다.
코커는 지난 9월 북한의 제5차 핵실험 후 미국 여야의원 20여명이 낸 규탄 성명에 동참하면서 "오바마 행정부, 중국, 유엔 안보리가 쏟아내는 말만으로는 북한의 핵 위협을 결코 멈출 수 없다"며 "미국, 중국, 유엔이 즉각적으로 대북제재를 강화하지 않으면 북한은 결국 완전한 핵보유국의 목표를 달성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2013년 2월 '북한의 핵확산 및 다른 목적으로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공동 발의하는 등 북핵 문제에 큰 관심을 보여왔다.
하스 회장은 한국 주도의 '흡수통일'이 북한 위협을 종식시키는 길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2014년 12월 2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고한 '북한의 위협을 끝장낼 때'라는 제목의 글에서 북한의 위협을 끝내는 유일한 길은 북한이 망해 한반도가 통일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하스는 트럼프가 선거운동 기간 언급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 역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하스는 지난 9월 20일 발표한 기고문에서는 대북 제재 확대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막을 가능성이 작다고 전제한 뒤 "미국이 중국과의 외교에 집중하는 게 더 타당하다"며 "미국은 한국, 일본과 긴밀히 협의한 다음 통일 한국이 어떤 모습일지에 대해 중국 관리들과 논의함으로써 일부 중국인들의 (안보) 우려를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jhcho@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