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16-12-19 09:06:50
- 조회수 : 1,972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 때마다 무력시위를 일삼았던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5주기를 추가도발 없이 넘기면서 그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21호에 대한 반발과 최순실 씨 국정농단 게이트에 따른 혼란한 국내 정세, 미국 정권 교체기를 호기로 오판해 김정일 기일인 17일 이전에 도발할 가능성을 예의 주시해왔다.
특히 올해는 김정일이 사망한 지 5년째가 되는 '꺾어지는 해(정주년)'이기 때문에 이달 들어 핵실험이나 탄도 미사일 발사 등 전술적·전략적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거론됐다.
북한은 지난 2006년과 2009년, 2012년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국제사회가 제재에 나섰을 때 각각 핵실험으로 응수했으며, 지난 3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따른 대북제재 결의 2270호가 나왔을 때도 당일 방사포 6발을 발사하는 등 국제사회 제재 국면 때마다 무력시위를 벌여온 전례가 있다.
하지만, 북한은 지난 10월 20일 무수단 미사일을 쏜 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잇달아 군부대를 찾았을 뿐 현재까지 별다른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이달 들어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시험을 한 것이 미국에 포착됐지만, 해상이 아닌 육상에서의 시험이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미국 정권 교체기를 도발의 호기로 판단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미국 트럼프 새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가시화되는 내년 상반기 이후로 도발 선택 시기를 유보한 게 아니냐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북한이 대북정책을 책임지는 국무장관에 석유업계 거물을 지명하는 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파격 인사를 지켜보면서 도발을 통한 '미국 길들이기'보다는 일단 도발을 자제하면서 미국의 대북 정책을 관망하는 쪽으로 선회했다는 것이다.
정권을 이끌 핵심 인물들에 기성 주도세력인 워싱턴 정가와 동떨어진 인물 위주로 발탁하고 군인, 억만장자를 중용한 점이 트럼프 인사의 특징으로, 미국 새 행정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북한이 섣불리 도발 카드를 빼 들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의 이런 기조는 지난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이뤄진 북미 접촉을 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국장의 입을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다.
최 국장은 당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 윤곽이 드러나기 전에는 북·미관계 개선 혹은 협상 가능성의 문을 닫는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18일 "북한이 올해로 끝나는 우주개발 5개년 계획을 결산하는 차원에서 트럼프가 취임하는 내년 1월 말 또는 2월 김정일 생일 전후로 장거리 미사일을 쏘아 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최근 청와대 타격훈련 등을 벌인 북한군의 동계훈련 강도는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며 "내년 2월 한미 연합훈련마저 시작되면 다시금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anfour@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작년 외국인 대북투자 8천300만달러…전년대비 30% 증가" 16.12.22
- 다음글"北, 미중 관계의 중심이슈…트럼프-김정은 햄버거협상 없을 것" 2016.12.19 09: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