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북한이 원하면 대화하겠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진의는
  • 관리자
  • 2018-02-22 12:12:30
  • 조회수 : 730
펜스-김여정 회담 北제의 수용으로 '북미 탐색대화' 입장은 확인 
한미군사훈련재개 전후 대화 재시도가 향후 흐름 관건 


"펜스-김여정 청와대 회담, 북 제의로 계획후 북이 2시간전 취소"
"펜스-김여정 청와대 회담, 북 제의로 계획후 북이 2시간전 취소"(서울=연합뉴스)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미국과 북한의 회담이 비밀리에 성사됐으나 북한 측이 회담 직전 이를 취소해 불발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뒷줄 오른쪽)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뒷줄 왼쪽),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앞)이 지난 9일 오후 평창올림픽플라자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을 지켜보는 모습. 2018.2.21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 "북한이 대화를 원하면 대화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진의에 관심이 쏠린다.

워싱턴포스트(WP)의 20일(현지시간) 보도로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방한했던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지난 10일 회담 성사 직전까지 갔던 사실이 드러나면서다.

WP는 올림픽 기간 북한이 제의한 북미 회담이 비밀리에 성사됐으나 북한 측이 회담 2시간 전 취소해 불발됐다고 전했다. 취소 시점은 펜스 부통령이 9일 천안함 기념관을 방문하고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제재 공언 등 압박 캠페인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가 나온 때였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불발에 그쳤지만 북핵·미사일 고도화에 최고의 압박과 제재로 일관해왔던 트럼프 정부가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마련된 남북 해빙 공간에서 처음 북한과 대좌하려고 했던 사실은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있다는 최근의 공언이 빈말이 아니었음을 보여줬다.

하지만 펜스 부통령이 인터뷰 등을 통해 "만약 대화의 기회가 있다면 그들에게 미국의 확고한 (비핵화) 정책을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 것처럼 미 정부는 회담을 협상이 아닌 대북 직접 압박의 무대로 활용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번 북미 첫 회담 불발을 통해 미 정부는 북한과 대화의 문은 열어놓되 지난해 1월 정권 출범 이후 지속해온 '최고의 압박'은 멈출 뜻이 없으며, 대화하더라도 '비핵화'가 협상의 의제와 목표가 돼야 한다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당근'이 아니라 '커다란 채찍'을 통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불러내겠다는 점을 거듭 분명히 한 것이다.

펜스 부통령이 평창으로 향하면서 '전례 없는 대북제재' 등을 공언한 것이나, 패럴림픽이 종료되고 4월 초 한미연합 군사훈련을 재개할 것이라는 데 쐐기를 박은 것 역시 이러한 대북구상과 연동돼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한미연합훈련이 재개되고 북한이 반발하는 양상에 따라 미국이 열어놓은 대화의 문이 닫힐 가능성도 작지 않다고 본다.

북한이 괌을 향한 탄도미사일 발사나 정상 각도 발사 등 도발로 맞설 경우 미 행정부 내 다시 강경파가 득세해 한동안 수면 아래로 들어간 '군사옵션'이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미 당국은 한미연합훈련 재개에도 북한이 반발 수위를 조절할 가능성이 크다는 쪽으로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북제재로 강한 압박을 느끼는 북한 측이 어렵사리 마련된 북미 대화의 판을 먼저 깨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그 경우 한국 정부의 중재 등으로 4월을 전후해 북미 간 대화가 재시도될 수 있다는 게 워싱턴 외교가에서 나오는 시나리오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신뢰하는 인물로 꼽히는 장녀 이방카 트럼프의 평창 폐회식 참석에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백악관 선임고문인 '퍼스트 도터' 이방카가 트럼프 대통령의 어떠한 메시지를 들고 오느냐에 따라 향후 북미 회담과 남북정상회담 등 한반도 위기를 둘러싼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워싱턴 외교가의 한 인사는 트럼프 대통령은 '최고의 압박' 작전이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끌어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만큼 현재 남북대화의 모멘텀이 북미대화로 이어질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전망했다.

shin@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