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19-02-19 11:56:31
- 조회수 : 101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오는 27∼28일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 전후로 베트남 국빈방문 일정을 소화할 것으로 알려져 소원했던 양국 관계의 복원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통신은 김 위원장이 25일 베트남에 도착해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국가주석과 회담할 예정이라고 최근 하노이발로 보도했다.
애초 쫑 주석의 25∼27일 캄보디아·라오스 방문 일정 탓에 김 위원장의 국빈방문은 2차 북미정상회담 직후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민 장관은 지난 12∼14일 방북에서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담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 등 북한의 외교라인 최고위급 인사를 잇달아 면담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3일 이런 내용을 보도하면서 양국이 전통적인 친선협조 관계 확대·발전 방안과 상호 관심사인 지역·국제 문제들에 대한 '견해 일치'를 봤다고 밝혔다.
면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베트남 국빈방문 일정과 의전·경호 방식뿐 아니라 향후 북한과 베트남의 관계 발전에 대한 내용이 폭넓게 논의됐고, 양측이 만족할 만한 의견 일치를 도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 구축의 분수령이 될 2차 북미정상회담 못지않게 베트남과 관계 발전에도 무게를 싣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950년 1월 수교한 북한과 베트남은 1957년 호찌민 베트남 주석의 방북과 이듬해 김일성 주석의 베트남 방문 등을 계기로 '동지적 관계'에 뿌리를 두고 발전했다.
1967년에는 양국이 무상군사지원 및 경제원조 협정을 체결했고, 베트남전 당시에는 북한이 공군 병력을 파견하고 군수물자를 지원하면서 단순한 외교 관계를 넘어 피를 나눈 '혈맹'을 과시했다.
베트남 또한 공산당 일당체제를 유지하고, 베트남전 이후 반미 기조를 유지했다는 점에서 북한에 또 다른 '사회주의 형제국가'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베트남이 1978년 12월 캄보디아의 친(親) 중국 정권을 침공하자 북한이 베트남을 비난하면서 양국은 대사를 철수시키고 대리대사를 두는 등 관계가 급속도로 얼어붙기 시작했다.
여기에 경제위기에 직면한 베트남이 1986년 개혁·개방정책인 '도이머이'(쇄신)를 채택했고, 1992년 한국과 수교하면서 양국 간 관계는 더 멀어졌다.
<저작권자 ⓒ 2005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또 베트남이 1995년 미국과의 국교 정상화로 북한과 완전히 다른 길을 걷게 되면서 북한과 베트남은 한동안 실질적 교류보다는 형식적 우호 관계만 유지할 정도로 멀어졌다.
그러나 김정일 집권 시기인 2000년대 들어 북한은 베트남과 관계 회복을 모색했고, 김정은 정권 때인 지난해 11월에는 김일성 주석의 첫 베트남 방문 60주년에 맞춰 리용호 외무상이 베트남을 공식 방문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김정일·김정은 위원장은 아직 단 한 차례도 베트남을 방문하지 않았다. 김일성 주석이 1958년 11월과 1964년 10월 두 차례 베트남 하노이를 찾아 당시 호찌민 주석과 정상회담한 것과 대비된다.
따라서 김정은 위원장의 방문은 55년 만에 북한 지도자가 베트남 땅을 다시 밟아 양국의 진정한 관계복원을 꾀하겠다는 의미여서, 정치·외교적 상징성이 작지 않다.
아울러 베트남과 관계개선 문제는 북한이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추진할 경제·외교 정책의 성패를 가늠할 실질적 요소이기도 하다.
베트남이 여러 면에서 북한의 미래 모델이기 때문이다. 우선 공산당 일당 독재를 유지하면서도 자본주의 체제를 수용해 발전했고, 농업·광업 등 1차산업 중심에서 제조업 중심의 2차산업 체계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산업조정과정에서 외부자본의 유치가 절대적인 역할을 했는데, 그 과정에서 미국과 수교가 결정적인 변곡점이었다.
최근 방북한 베트남의 팜 빈 민 장관은 자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과 국가 건설, 사회·경제발전, 국제 통합 경험을 공유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것도 이런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redflag@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