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19-09-04 06:18:19
- 조회수 : 113
쪽 두 번째) 등 참석자들이 사망한 북한이탈주민 한씨 모자를 위해 묵념을 하고 있다. 2019.9.2 kimsdo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정빛나 기자 = 정부가 탈북 모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위기에 처한 탈북민 가구를 발굴하기 위해 취약세대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2일 서호 통일부 차관 주재로 23개 유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북한이탈주민대책협의회 전체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탈북민 생활안정 종합 대책을 수립했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우선 통일부 산하 탈북민 지원기관인 남북하나재단이 고령자, 장애인, 한부모 가정, 기초생활수급 탈락자 등 탈북민 취약세대를 전수조사해 경제적 곤란·질병·고립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탈북민을 적극적으로 찾아낸다는 방침이다.
조사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전체 탈북민 약 3만700명 가운데 10%가량으로, 약 2∼3천명 선이 될 것으로 정부는 추산하고 있다. 조사 기간은 3개월 정도 걸릴 전망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후 보건복지부가 한 실태조사와 비교해서 최종적으로 위기가구로 지정하고, 잠재적 위험이 있는 경우엔 고위험 위기가구로 지정해 관리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북한이탈주민 종합관리시스템'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위기에 놓인 것으로 의심되는 탈북민을 찾아내 복지·교육·취업 등 필요한 서비스를 연결하고 사후 관리할 예정이다.
또 지역 하나센터 상담사들이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시행하고, 남북하나재단의 '탈북민 콜센터' 운영 시간을 24시간으로 연장할 방침이다.
현재 5년간의 초기 정착기간에 집중된 탈북민 지원 시스템도 일부 개선한다.
탈북민 위기가구의 경우 북한이탈주민법에 규정된 5년간의 거주지 보호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세부 기준과 절차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통상 하나원 교육을 마친 탈북민은 5년간의 거주지 보호 기간에 남한의 사회안전망에 편입되는 과정을 제도적으로 지원받는다. 이 기간을 '졸업'하면 탈북민을 위한 제도적 관리망에서는 상당 부분 벗어나게 된다.
사망한 탈북민 한모(42)씨의 경우 2009년 하나원을 나와 비교적 순조롭게 초기 정착을 했지만, 이후 개인적으로 사정이 악화한 것이 사각지대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통일부 당국자는 "고위험 취약계층의 경우 보호기간을 좀 더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며 "전에는 '연장할 수 있다'고만 돼 있었고 구체적 기준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탈북민에 대한 기초생활보장제도 특례도 확대된다. 통상 탈북민의 경우 하나원에서 퇴소할 때 기초생활보장 수급을 신청하는데, 근로능력과 관계없이 혜택 기간을 3년서 5년으로 늘렸다.
탈북민을 둘러싼 사회적 네트워크도 강화한다.
통일부는 "탈북민의 고립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생활안정을 지원하는 탈북민 단체를 지원·육성하고, 탈북민 공동체를 통해 위기 의심자가 조기에 발굴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하나재단을 통해서 탈북민 단체와 상시 협의할 수 있는 협의체를 만들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도 말했다.
아울러 탈북민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예산도 확충할 방침이다. 내년 정부 예산안은 이미 확정됐지만, 남북하나재단 예산은 출연금 성격이라 일부 조정할 여지가 있다고 통일부 당국자는 설명했다.
통일부는 탈북민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 데 이번 대책의 초점을 맞췄다며 "국회 등과의 협력을 통한 중장기 대책 마련 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탈북민 한모(42) 씨와 아들 김모(6) 군은 지난 7월 말 서울 관악구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되면서 탈북민 위기가구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졌다.
kimhyoj@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