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그리운 가족 못 보고'…이산가족 신청자 올해 1천300명 눈감아
  • 관리자
  • 2020-06-25 07:13:21
  • 조회수 : 93
6·25전쟁 70주년에도 남북관계 악화로 이산가족 상봉 요원
코로나19 탓에 민간 차원 상봉도 전무…"北 화상장비 상태 확인 불가"
눈물 흘리는 실향민
눈물 흘리는 실향민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올해 들어서만 벌써 1천300여명이 세상을 떠났다.

6·25전쟁 70주년이자 이산가족 대면상봉 2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지만 남북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으면서 북에 있는 그리운 가족을 다시 만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은 점점 사그라지고 있다.

25일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했지만, 북녘의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올해 사망한 신청자는 1천379명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이들은 모두 13만3천386명인데, 이 가운데 생존자는 38.5%(5만1천367명)에 그친다. 나머지 61.5%(8만2천19명)은 이미 세상을 떠났다.

생존자들도 대부분 고령이라 시간이 많지 않다. 90세 이상이 25.8%, 80대가 39.6%다.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던 2018년에는 이산가족 상봉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컸다.

2018년 8월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개최됐고 같은 해 9·19 평양 정상회담에서 상설면회소 개소와 화상 상봉, 영상편지 교환 등에 합의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미관계 교착이 남북관계 답보상태로 이어지며 이산가족 상봉 관련 남북 간 약속 이행은 속도를 내지 못했다.

그래도 올해 초까지 기대감은 살아있었다.

정부는 대북제재의 틀을 '우회'하면서 인도주의적 차원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이산가족 대북 개별관광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려 했다.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과 6·25전쟁 70주년이 겹쳐 의미가 큰 올해 6월을 목표로 이산가족 대면 상봉과 함께 화상 상봉, 영상편지 교환과 같은 비대면 상봉도 함께 준비해왔다.

특히 화상 상봉의 경우 지난 4월 일찌감치 국내 화상 상봉장 개보수를 끝내고 모니터·캠코더 등 북한에 반출할 장비에 대한 대북제재 면제까지 확보해놨다.

하지만 이달 초부터 남북관계가 급격히 악화하면서 현재로서는 이산가족 상봉 성사는 요원해졌다.

대한적십자사 관계자는 통화에서 "과거 북측 화상 상봉장은 평양 고려호텔에 마련됐었지만, 현재는 그 장비들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이 불가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도 올해 들어 거의 전무한 상태다.

제3국을 통해 이뤄지는 개인 차원의 생사 확인은 2000년에는 450건에 가까웠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 작년에는 2건에 머물렀고 올해는 아직 한 건도 없다.

부부나 부모·자식, 형제·자매 등 직계가족과 생이별한 이산가족 '1세대'가 상봉 의지가 가장 강한데, 이들이 고령화하면서 제3국으로의 이동 등이 어려워진 탓이 크다.

특히 올해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국경이 봉쇄되면서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이 전무한 것으로 분석된다.

2000년대 초반에는 900건대에 달했던 서신 교환도 올해는 달랑 3건에 그친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이 남북관계의 최우선 과제라는 정부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통일부는 "앞으로 여건이 되는 대로 남북 간 협의를 통해 9·19 평양공동선언 합의 사항을 이행하고, 대면 상봉·고향 방문 등 다각적인 교류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전자 검사와 영상편지 축적 등 국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이산가족 교류 기반 강화 작업은 계속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ykbae@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