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1-03-09 07:41:10
- 조회수 : 117
미, 일본·호주 등 소수 동맹과만 '2+2회담'…한국과는 2016년이 마지막
일본 거쳐 17∼18일 방한하면 개최 전망…바이든 시대 대북 메시지 주목
미 국무 첫 행선지가 한국·일본일듯…중국 견제·한미일 협력 강조 포석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3일(현지시간)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 = 한국과 미국 간에 외교·국방 장관이 함께 만나는 이른바 '2+2 회담'이 5년 만에 부활할 것으로 예상된다.
'2+2 회담'은 미국이 한국과 일본, 호주 등 소수의 핵심 동맹과만 개최해 온 형식으로, 트럼프 정부 때 중단됐던 '2+2 회담' 재개는 한미동맹의 명실상부한 복원을 상징하는 신호탄이 되리라는 기대가 나온다.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은 일본을 거쳐 이달 17일부터 1박2일간 방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방한하게 되면 정의용 외교부 장관·서욱 국방부 장관과 '2+2 회담'도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한미 간 '2+2 회담'은 2016년 10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게 마지막으로, 직후에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는 열리지 않았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정상 이유로 안 열렸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지만, 트럼프 정부가 동맹의 외교·안보적 가치에 상대적으로 무게를 덜 두면서 '2+2 회담' 자체에 별 관심이 없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 트럼프 정부의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무부가 주요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트럼프 정부의 대외정책은 대통령의 개인화, 중앙화 돼 있어 국무부 중심의 정책 전개가 잘 이뤄지지 않으면서 한미 간 2+2 협의체도 제대로 운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2 회담'의 의제도 관심이다. 지난 4차례의 회담에서처럼 이번에도 공동성명이 채택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의 외교·안보 핵심 장관 4명이 한자리에 모이는 데다, 그것도 장소가 서울이라는 점에서 북한·북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가 우선 주목된다.
아직 대북정책을 검토 중인 바이든 정부가 북한·북핵 문제에 대해 원론적인 수준을 넘는 비전을 제시하는 첫 자리가 될 가능성도 있다.
'2+2 회담'은 과거부터 북한 문제가 가장 중요한 의제였다. 특히 북한의 도발 이후에 회담이 열리는 경우가 많아 대북 압박의 무대로 기능했다.
2010년 7월 첫 회담은 천안함 사태 직후에 열렸고, 2012년 6월 2차 회담은 북한이 장거리 로켓 은하3호를 발사한 두 달 뒤에 개최됐다. 2014년 10월과 2016년 10월 회담은 북핵 문제는 물론 이슬람국가(IS) 격퇴 등 국제 안보이슈에 대한 협력도 주요 의제였다.
특히 이번 '2+2 회담'은 한미 연합훈련이 진행 중인 가운데 열려 메시지의 성격에 따라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도 있다.
바이든 정부의 국무·국방 장관의 첫 해외출장지가 한국과 일본이 될 것이란 전망도 시선을 끈다.
미 국무장관은 주로 유럽이나 중동을 들른 뒤에 아시아를 찾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엔 순서가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이는 한국·일본이 유럽·중동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나은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시아에 대한 외교 우선순위가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일본을 거쳐 한국을 찾는다는 점에서 한미일 3각 공조를 강조하는 행보로, 북한은 물론 중국을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교 소식통은 "바이든 정부가 외교 정책, 코로나19 상황, 지역 정세 등을 고려해 첫 순방지를 정할 것"이라며 "현재로선 동아시아를 가장 먼저 방문하는 게 유력해 보인다"고 말했다.
gogo213@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