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민위
- 2022-09-13 07:02:35
- 조회수 : 596
추석 연휴 이후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국장과 뉴욕 유엔총회를 계기로 세계 주요국 수장들이 대거 모이는 정상외교의 장이 잇따라 마련된다.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2일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19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엘리자베스 여왕 장례식에 참석하고, 미국 뉴욕으로 이동해 20일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에 나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을 비롯해 각국 정상들이 기조연설을 하는 올해 유엔총회 일반토의(General Debate)는 이달 20일(현지시간) 시작한다.
마침 그 직전에 치러지게 된 엘리자베스 여왕 장례식도 주요국 지도자들이 총집결하며 "금세기 최대의 외교 행사 중 하나"(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될 전망이다. 이달 하순 보기 드문 '연쇄' 정상외교 공간이 열리는 셈이다.
특히 본격적인 다자 외교 무대가 될 유엔총회에서는 윤 대통령의 첫 유엔총회 기조연설 메시지와 함께 한일, 한미 등 양자 정상회담 개최 여부가 관심을 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첫 양자 회담이 성사된다면 강제징용 문제 등 현안과 관련한 정상 차원의 직접 소통이 이뤄질 수 있어 의미가 크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유엔총회 때 한일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양자 정상회담이 될지, 아니면 '풀어사이드'(약식회동)가 될지 모르겠지만 현재 회담을 추진 중"이라며 "아직 확정이 안 됐기 때문에 최종적인 말씀은 드릴 수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지난 6월 스페인 마드리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서 첫 대면하고 한미일 3국 정상회담에 나란히 참석하기도 했지만 별도의 한일 양자 회담은 하지 못했다.
당시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던 일본이 정치적 부담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교적 소통을 가속하는 등 한일 정상이 대좌할 '여건'이 좀 더 무르익은 측면이 있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이달 초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에 참석하는 계기에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별도의 한일 안보실장 회담을 했다. 김 실장은 귀국하면서 이르면 유엔총회 때도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다자회의를 계기로 한 양자 정상회담은 늘 성사 가능성이 유동적이어서 실제 어떤 형태가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회담이 이뤄지더라도 현안 진전보다 큰 틀에서 관계개선 동력을 마련하는 의미가 더 클 수 있다.
이와 관련,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지난 7일 외신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개 정상회담은 큰 그림이나 원칙적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현안에 대한 구체적 협의에 적절한 계기는 아니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유엔총회 이후에는 오는 27일 도쿄 일본무도관에서 열리는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국장에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할 예정이어서 한일간 최고위급 접촉 기회가 연이어 생긴다.
미국과도 이달 연쇄 정상외교의 장을 계기로 최고위급 소통이 잇달아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윤 대통령이 따로 만나게 된다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한국산 전기차 차별 문제가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정상 차원에서 한국 정부와 업계의 우려를 전달하고 차별 해소를 요청할 흔치 않은 기회이기 때문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미국이) 현재 상당히 면밀하게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 문제는 우리 입장에서 굉장히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양자회담 계기에 제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29일에는 아베 전 총리 장례에 참석한 뒤 방한하는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윤 대통령을 예방할 예정이어서 또다시 IRA 문제가 거론될 전망이다.
한미는 연쇄 최고위급 접촉을 통해 비핵화 협상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 추진과 북한의 추가 도발시 대응을 위한 공조 방안도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8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절대로 먼저 핵포기란, 비핵화란 없다"고 천명하고 핵무력정책을 법제화해 비핵화 협상 재개가 한층 어려워진 상황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유니세프 전 평양사무소장 "북, 중국산 백신 도입 가능성 커" 22.09.14
- 다음글국방장관, 백골부대 GOP 방문…"적도발에 즉각·단호 대응해야" 2022.09.13 06:5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