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유엔인권사무소장, 국군포로 가족 면담…"70년 미해결 마음아파"
  • 북민위
  • 2022-11-24 08:22:45
  • 조회수 : 626

제임스 히난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이 23일 국군포로 가족 단체를 만나 국군포로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손명화 6·25국군포로가족회 대표는 이날 오전 히난 소장이 서울 중구 만리재로 사무실을 방문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히난 소장은 "국군포로 문제가 지난 70년간 왜 해결이 되지 못했는지 매우 가슴 아프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손 대표는 이 자리에서 "국군포로와 그 가족들은 북한에서도, 남한에서도 연좌제 속 차별을 겪었다"며 "국군포로 주무부처가 국방부인데 통일부, 국가보훈처와 업무가 걸쳐져 있어 제대로 해결이 안 된다"고 언급했다.

이어 "내년이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이니 북한에서 국군포로 유해 송환이라도 할 수 있게끔 유엔에서 나선다면 큰 위로가 될 것"이라며 "정부가 북한에 있는 국군포로에게 훈장이라도 수여해주면 아픈 상처가 풀리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히난 소장은 "적극적으로 업무를 파악하고 여러분의 의견을 청취한 뒤 한국 정부와도 논의해보겠다"고 화답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현재 국군포로 관련 업무는 국방부에서 담당하고 있지만 전시 납북자는 6·25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에서, 전후 납북자는 통일부에서 각각 담당하고 있다.

6·25전쟁 이후 유엔군과 공산군은 전쟁포로를 상호 교환했다. 당시 유엔군은 국군 실종자 수를 8만2천명으로 추정했지만 공산군이 최종 인도한 국군포로는 8천343명에 불과해 상당수가 북한에 강제 억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후 지금까지 북한을 탈출해 한국으로 돌아온 국군포로는 80명에 불과하다.

지난달 2일 한국에 부임한 히난 소장은 같은 달 17일 대북단체 및 시민단체와 상견례를 했다. 지난주 납북자가족모임 면담을 시작으로 개별단체와 만나 현안을 파악하고 있다.

서울 유엔인권사무소는 지난 2015년 유엔인권이사회 결의에 따라 북한 인권을 모니터링하고 기록, 책임 규명 노력을 강화하기 위해 개소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