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민위
- 2022-12-23 13:53:20
- 조회수 : 458
북한이 내년에는 대남 사이버 공격을 더욱 거세게 전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1월 제8차 노동당 대회에서 국방공업발전 전략목표를 제시한 이후 우리 원전·방산 기술을 탈취하려는 움직임도 크게 늘었다.
국가정보원은 22일 경기도 판교 제2테크노밸리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2023년 5대 사이버안보 위협 전망'을 발표했다.
◇ "핵실험 감행한다면 직후 사이버공격 급증할 것"
국정원은 "내년에 북한·중국 등 국가 배후 해킹조직은 우리의 원자력·우주·반도체·방위산업 관련 첨단기술과 한미 대북정책 전략을 수집하기 위해 해킹을 지속할 것"이라며 "특히 북한은 국가경제개발계획 3년 차를 맞아 이를 완수하기 위한 기술자료 절취를 지속하면서 외교안보 정보 수집에도 열을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과거 북한이 남북관계 악화 시 또는 핵실험 후 정부와 금융망을 대상으로 사이버 테러를 자행했던 것을 고려하면 군사 도발·대남 비방과 연계한 사이버 사보타주(파괴공작) 공격이 우려된다"며 "'카카오 사태' 등 민간 데이터센터(IDC) 화재의 파급력을 학습한 해킹 조직이 사회 혼란을 노리고 주요 기반 시스템에 대한 파괴적 사이버 공격을 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가짜' 항복 동영상이 떠돌았듯이, 북한도 딥페이크(deepfake)를 활용해 허위 영상을 유포하는 등 대남 공작을 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백종욱 국정원 3차장은 "북한은 역대 핵실험 직후 국제사회의 제재에 대한 반발로 사이버 공격을 하는 패턴을 보였다"며 "2017년 6차 핵실험 때는 남북관계 유화 분위기 속에 그렇게 많은 공격을 하지 않았지만, 2019년 하노이 미북정상회담 실패 전후로는 국내에 대한 공격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8차 당대회에서 핵무기 소형화와 전술무기화 촉진 등을 지시한 이후 관련 정보를 훔치려는 공격이 늘었냐는 물음에는 "아무래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답했다.
대통령과 장관의 휴대전화가 타깃이 될 수 있냐는 질문에는 "외국에서도 대통령의 이메일과 휴대전화 정보는 공격조직이 최상으로 생각하는 타깃"이라며 "그런 분들에 대한 공격이 있으리라는 걸 늘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정부, '고화질 평양 사진' 공개로 응수…北 서울 사진 사흘만에 송고시간2022-12-22 17:32 中文 22.12.23
- 다음글외교부, 中 비밀경찰서 의혹에 "먼저 사실관계 등 파악돼야" 2022.12.23 13:5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