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휴대전화 보급률 71%…접경지는 31% 수준"
  • 북민위
  • 2023-09-06 07:58:23
  • 조회수 : 193

평양 주민의 휴대전화 보급률은 70%를 웃돌지만 지방에서는 그 절반 이하에 그치는 것으로 탈북민 대상 조사에서 파악됐다.

식량 배급을 경험한 비율 역시 평양이 지방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5일 통일부의 '북한의 경제·사회, 정치 동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이후 탈북민 3천415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 결과 평양 주민의 휴대전화 보유율은 71.2%로 집계됐다.

평양을 벗어난 지방 중 '접경지역'과 '비(非)접경지역'에서는 각각 31.1%와 36.0%였다.

이러한 평양과 지방 간 격차는 다른 정보기기에서도 나타났다.

컴퓨터 보유율은 평양지역, 접경지역, 비접경지역이 각각 58.3%, 16.4%, 16.9%였고, 일반전화 보급률은 76.5%, 36.5%, 33.6%로 조사됐다.

평양과 지방의 정보기기 보유율
                                             평양과 지방의 정보기기 보유율 백색가전의 경우(전체 응답자 2천921명) 냉장고(72.6%, 24.8%, 32.3%)는 지역간 보급률이 정보기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 컬러TV(84.7%, 67.2%, 63.6%)와 선풍기(78.2%, 52.6%, 62.2%)는 상대적으로 편차가 작았지만 그래도 20%포인트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식량 배급 경험률(전체 응답자 3천415명)도 평양, 접경, 비접경 순으로 65.2%, 32.0%, 27.9%로 각각 응답했으며, 생필품 배급 경험률도 50.7%, 25.9%, 27.7%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접경 및 비접경 지역의 식량 배급 경험률과 생필품 배급 경험률이 모두 평양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며 "식량·생필품 배급의 혜택이 평양에 집중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조사에 응한 이들 대부분이 코로나19로 인한 국경 봉쇄 이전에 탈북한 접경지역 출신이어서 조사 결과가 최근의 지역별 정확한 보급률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평양과 지방의 식량 배급 경험률
                                                  평양과 지방의 식량 배급 경험률

북한은 대북제재와 경제난으로 자원 부족이 심화한 가운데서도 핵심계층이 거주하는 평양에 일관되게 자원을 집중하고 있고, 이동·거주의 자유를 극도로 제한해 지역 간 격차는 고착화하고 있다고 통일부는 설명했다.

경제난 속에서도 기호품 성격의 식료품 수입은 늘고 있다.

북한의 무역통계를 보면 커피, 초콜릿, 버터 등의 수입액은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우유는 김정은 위원장이 어린이 대상 무상 공급 정책을 제시한 후 봉쇄 기간에도 증가세를 보였다. ▲▲

북한의 식량외 식료품 수입액 추이
                                     북한의 식량외 식료품 수입액 추이

주택 공급과 관련, 김정은 집권 이래 최근까지 3만6천800 가구가 건설된 것으로 집계됐다. 평양 인구가 2012년 290만명에서 2021년 기준 310만명으로 늘어 5만 가구(4인 가구 기준)가 더 필요한 것과 비교하면 부족한 수준이다.

기존 주택 중 약 6만 가구는 40년 이상 지난 노후 아파트로 추정된다.

김정은 집권기 평양의 주택 건설 동향은 도심에서 외곽으로 확장되고, 재개발에서 신규 조성 및 대단지를 지향하는 양상이라고 통일부는 분석했다.

작년부터는 농촌 살림집 사업이 관영매체에 잇따라 보도되며 부각되는데 여건이 가장 열악한 국경지역이 아니라 함경남도, 평안북도, 황해도 등 곡물 생산량이 많은 곳을 우선하는 경향도 드러났다.

통일부는 북한의 살림집 건설 프로젝트와 그 메시지를 '건설정치'로 표현하고, 기반시설(SOC)에 비해 산업적 파급효과가 제한적이지만 세습통치 정당화, 남한의 주택난과 대비한 무상공급 선전 등 대내외 심리적 효과가 크다고 진단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